정읍 지황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 현장 조사 마쳐
페이지 정보

본문
정읍시가 조선시대부터 임금께 진상되던 정읍지황의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을 위한 현장 조사를 마쳤다.
옹동면 전통생활문화관과 지황 품종 전시포 등에서 지난 11일 진행된 현장 조사에는 자문위원을 비롯해 재배농가와 관계자 등 30여명이 참석했다.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은 국가 차원에서 보전할 가치가 있는 농업자원을 지정·관리하는 제도로, 농림어업인의 삶의 질 향상 및 농산어촌 지역개발 촉진에 관한 특별법 제30조 2항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이날 현장 조사에서는 고려지황을 포함한 11종의 품종과 전통 재배법, 숙지황 가공 방식 등이 소개됐다. 이를 통해 역사성, 전통 농업 문화, 특별한 경관 등 농업유산으로서의 가치를 보여줬다.
김호성 재배농가는 “정읍 지황이 국가중요농업유산으로 지정되면 농가의 자긍심이 높아지고 판로 확대를 통해 지역 생계 기반이 더욱 튼튼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정읍지황은 조선왕조실록에도 기록돼 있을 만큼 역사적 가치가 크다. 지황 재배에 적합한 기후와 토양, 농가의 꾸준한 노력 덕분에 현재까지 옹동면·태인면·칠보면 등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다.
시는 1992년 지황 주산단지로 지정됐으며, 2015년에는 지리적표시 단체표장을 등록했다. 또한 2022년부터 올해까지 ‘정읍지황 농촌융복합단지 조성사업’을 추진하며 명성 회복에 힘써왔다.
농업기술센터 이용관 소장은 “올해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이 성사되면 가치 보존은 물론 지역경제와 농촌관광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정읍 지황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겠다”고 전했다. 정읍=김진엽기자
출처 : 전민일보(http://www.jeonmin.co.kr)
옹동면 전통생활문화관과 지황 품종 전시포 등에서 지난 11일 진행된 현장 조사에는 자문위원을 비롯해 재배농가와 관계자 등 30여명이 참석했다.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은 국가 차원에서 보전할 가치가 있는 농업자원을 지정·관리하는 제도로, 농림어업인의 삶의 질 향상 및 농산어촌 지역개발 촉진에 관한 특별법 제30조 2항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이날 현장 조사에서는 고려지황을 포함한 11종의 품종과 전통 재배법, 숙지황 가공 방식 등이 소개됐다. 이를 통해 역사성, 전통 농업 문화, 특별한 경관 등 농업유산으로서의 가치를 보여줬다.
김호성 재배농가는 “정읍 지황이 국가중요농업유산으로 지정되면 농가의 자긍심이 높아지고 판로 확대를 통해 지역 생계 기반이 더욱 튼튼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정읍지황은 조선왕조실록에도 기록돼 있을 만큼 역사적 가치가 크다. 지황 재배에 적합한 기후와 토양, 농가의 꾸준한 노력 덕분에 현재까지 옹동면·태인면·칠보면 등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다.
시는 1992년 지황 주산단지로 지정됐으며, 2015년에는 지리적표시 단체표장을 등록했다. 또한 2022년부터 올해까지 ‘정읍지황 농촌융복합단지 조성사업’을 추진하며 명성 회복에 힘써왔다.
농업기술센터 이용관 소장은 “올해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이 성사되면 가치 보존은 물론 지역경제와 농촌관광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정읍 지황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겠다”고 전했다. 정읍=김진엽기자
출처 : 전민일보(http://www.jeonmin.co.kr)
관련링크
- 이전글정읍시, 정읍지황 융복합산업 활성화 세미나 개최 25.09.05
- 다음글‘정읍지황’ 가치 높인다…정읍시·건국유업&햄 업무협약 25.08.0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